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이르면 내년 3월부터 하천측량 업무에 드론이 본격 활용된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국가·자방하천 3,835개소(2만9,784km)를 대상으로 하천기본계획을 수립 중으로 내년에는 하천지형조사, 하상변동조사 등 하천측량 업무에 드론을 이용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이달부터 하상측량 시범사업을 우선 착수하며 현재 개발 중인 표준수행절차, 품셈(공정별 대가기준) 현장 적용성과 활용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은 5개 지방 국토관리청별로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의 본류 및 지류 7개 구간(122.5km)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드론이 전면 활용될 경우 하천기본계획 수립(100억원), 수시 하상변동조사(20억원), 하천모니터링(100억원), 소하천관리(100억원, 지자체) 등 연간 320억원의 공공부문 신규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존 대비 50% 비용으로 하천측량에만 활용해도 연간 12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예상된다. 2배 이상의 정확도, 3배 이상의 운영가능일도 확보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드론은 기존 산업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분야다. 하천분야에서도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단국대 김동수 교수는 “하천분야 드론 서비스 시장 선점을 통해 전체 물산업 시장의 1%만 점유해도 60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