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5월 현재 전국 평균 누적 강수량은 161.1㎜로 평년 292.7㎜의 56% 수준이며 6~8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전국 다목적댐의 평균 저수율은 41.3%로 평년 39.7%보다 높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생활·공업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충남 서부지역 보령, 서산, 예산, 홍성, 태안, 서천, 당진, 청양 8개 시군에 용수를 공급하는 보령댐은 올해 3월 25일 ‘경계’ 단계에 도달했다. 향후 강수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6월말 경 ‘심각’ 단계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업용수의 경우 저수지의 전국 평균 저수율은 61%로 평년 75%보다 낮은 상황으로 안성, 화성, 평택 경기 남부지역과 서산, 태안, 홍성, 보령, 예산 충남 서부지역의 가뭄상황이 심해지고 있다.
정부는 2015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가뭄에 대비해 지난해 10월부터 선제적으로 봄 가뭄대책을 추진해 왔다. 가뭄이 확산됨에 따라 ‘통합물관리 상황반’을 통해 추가대책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보령댐 저수율이 낮아짐에 따라 6월 1일부터 보령댐의 공급량 일부를 인근 댐에서 대체 공급하는 급수체계 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24일 현재 모내기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43%(32만ha) 완료된 상태이나 향후 강수량이 부족할 경우 논 물마름 등 가뭄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29일 모내기 이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경기와 충남에 특별교부세 70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향후 가뭄이 심화될 경우에는 농식품부의 가뭄대책비 93억원을 신속히 추가 지원하고 예비비 지원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