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우리나라의 사계절 기후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도로포장 설계법’이 도로포장에 활용되면서 도로 수명은 1.6배 늘어나고 도로포장 비용은 연간 840여억 원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2010년도까지 자체 포장 설계법이 없어 미국의 포장 설계법(AASHTO·포장설계법)을 획일적으로 사용했다. 도로포장은 환경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우리나라와 기후조건이 다른 미국의 포장 설계법을 적용한 결과 도로가 빨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AASHTO는 미국도로교통공무원 협회로서 50개 주를 대표해 도로 교통 관련기준, 제도, 운영시스템 등을 선도하는 기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부에서 10여 년 간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기후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도로포장 설계법’을 2011년 개발해 현재 도로설계에 적용 중이다.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5개청 152개 현장 포장의 설계 단면 분석결과 포장 두께가 약 6cm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도로포장 설계법의 개발로 포장수명은 2001년 7.6년 대비 2015년 12.1년으로 1.6배 연장됐고 포장사업비는 연간 840여억 원 절감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 측은 “그동안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설계법의 정확도를 더욱 높인 한국형 도로포장 설계법을 올 하반기 내놓을 예정이다”며 “인도네시아, 몽골 등 개발도상국에 우리나라의 포장설계법, 현장시공 관리기술 등 기술지원과 원천기술 수출을 위한 해외 홍보도 강화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