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세월호 본 인양 작업을 시작한 지 사흘 만에 선체가 수면 위 13m 까지 인양됐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가 24일 오전 11시10분 세월호 선체가 수면 위 13m까지 부상했다고 밝혔다.
현재 쇠줄을 이용해 선체와 잭킹바지선을 고정하는 2차 고박 작업과 완충재(고무 폰툰 5개 등) 공기 주입 작업 역시 조만간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완충재는 반잠수식 선박으로 이동하는 중 고박된 잭킹바지선(2척)과 세월호 선체가 서로 충돌해 세월호 선체를 손상시키지 방지하기 위한 장치다.
진행 중인 준비 작업이 마무리되면, 반잠수식 선박이 대기 중인 곳(남동쪽으로 약 3km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 잭킹바지선의 묘박줄(mooring line)을 회수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해수부는 소조기 마지막 날인 이날까지 반잠수식 선반에 선체를 옮기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세월호 선체를 반잠수식 선박에 거치하는데 4~6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이날 오전 6시45분께 세월호 선미 램프 제거 작업을 완료했다. 문제가 된 램프는 높이가 11m, 폭이 7.5m 규모로, 선박에 자동차 등이 드나드는 출입로를 만드는 개폐형 구조물이다. 램프가 열려 있으면, 세월호 선체를 목포신항까지 옮길 반잠수식 선박에 싣지 못한다. 반잠수식 선박은 13m까지만 잠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소조기 마지막 날인 이날까지 반잠수식 선반에 선체를 옮기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세월호 선체를 반잠수식 선박에 거치하는데 4~6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세월호는 반잠수식 선박에 실려 약 87㎞ 떨어진 목포신항 철재부두로 이동해 육상에 거치된다, 이어 수습자 수색과 선체 조사 등이 이뤄진다.
<24일 경기 안산시 정부합동분향소 유가족대기실>
한편 유가족들은 24일 오전 10시께 경기 안산시 정부합동분향소 유가족대기실에서 TV 화면을 통해 해양수산부의 긴급 브리핑을 보면서 인양상황을 모니터링했다.
이철조 해수부 세월호인양추진단장이 "램프 제거작업이 오늘 오전 6시45분 완료됐고, 오전 중으로 세월호를 반잠수식 선박이 있는 장소로 옮기기 위한 작업이 마무리될 것이다. 오늘까지 세월호를 선박에 선적하는 작업을 마쳐야 한다"고 발표하자 유가족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안도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