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지혜 기자] 스마트폰으로 농촌에 멀리 떨어져 지내는 부모님의 건강정보를 자녀들이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스마트시티 서비스’가 시범적으로 시행된다.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지원사업 4개를 완료하고 올해부터 일부 지역에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
우선 대구시 달성군 독거노인 1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가족협력형 농촌부모 안전돌보미는 웨어러블 심전도기기, 혈압혈당기, 디지털 약상자를 설치해 가족과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서비스다. 디지털 약상자가 제때 약을 복용했는지 자녀들에게 알려주고 몸에 착용한 심전도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혈압, 맥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대국민 인명구조 수색 시스템은 산악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조난자와 수색대원의 위치정보가 119상황실 모니터 지도위에 실시간으로 표기돼 신속한 인명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대상지는 경남 밀양소방서와 인근 산악지역이다.
수출입 위험물 안전관리 체계 구축의 경우 수출입 위험물 표찰을 비콘(Beacon)으로 대체해 사고발생 시 위험물질 종류, 사고대응 방법, 취급요령 등 위험물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게 된다. 서초맵 u-공유 커뮤니티는 일반주택지역 관리사무소(반딧불센터)에서 오프라인으로 운영하는 택배보관, 공구은행, 장난감 대여 등의 생활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게 된다.
4개 시범서비스는 2년 동안 시범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률과 만족도를 검증해 성과가 우수한 서비스는 타 지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김회수 행자부 지역정보지원과장은 “삶의 질 향상과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지능정보 기반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 확산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