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유진 기자]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주민의 교통편의 증진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영동대로 일대 통합 역사 구축, 지하 공간 복합 개발에 대한 업무협약을 지난달 31일 서울시와 체결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과 9호선 봉은사역 사이에 있는 영동대로 지하 공간(길이 약 650m, 폭 약 75m, 깊이 약 51m)에는 국가철도사업인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및 C노선(수도권 고속철도 의정부 연장 포함), 서울시가 계획한 위례~신사 도시철도가 통과할 계획이다. 또한 철도 역사와 연계한 복합환승센터, 주차장, 상업시설 등을 배치하는 도시개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동일 지역에 여러 사업들이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경우 반복된 굴착으로 인한 교통 불편, 예산 낭비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2015년 7월부터 국토부, 서울시, 경기도, 강남구, 철도시설공단으로 구성된 관계기관 실무특별팀(TF)을 구성했다. 통합개발에 대한 방법, 시기, 주체 등에 대해 논의했고 지난해 11월부터는 국장급 협의체로 격상해 협력체계를 강화한 바 있다.
국토부와 서울시가 체결한 협약안에는 영동대로 통합개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다양한 시설 주체 간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 추진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한다.
통합개발 기본계획 수립과 복합환승센터 시설물(철도역사 포함), 국가철도 사업의 토목공사는 서울시가 시행하고 국토부(철도시설공단)는 서울시로부터 2020년 4월까지 국가철도 사업 토목공사 시설물을 인수해 궤도 및 시스템 공사를 시행한다. 또한 2021년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개통 등 사업 일정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사업비는 ‘철도건설법’, ‘도시철도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한 바에 따라 분담하되, 최종적인 기관별 분담금액은 영동대로 통합개발사업의 세부계획이 수립되면 총사업비 등 관계기관 협의 후 결정한다.
다만, 현재 사업이 확정되지 않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수도권 고속철도 의정부 연장 포함)과 관련된 사업비는 서울시가 우선 부담하고 예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되고 기본계획이 수립된 이후 사업비를 분담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추진협의체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개발은 개별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던 삼성~동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국가철도 사업과 서울시가 계획한 복합환승센터 사업을 통합해 정부와 지자체 간 협업을 이끌어 낸 획기적인 개발 사업으로 이끌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