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태양광발전소에도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해 생산한 전기에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5.0을 부여하기로 하고 19일 고시했다. 내년까지 5.0을 적용하고 2018년부터는 보급여건을 점검해 가중치 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기후와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는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발전에 ESS를 연계시켜 생산된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함으로써 신재생발전의 효율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통상 ESS는 전기수요가 낮은 밤에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고 전기수요가 높은 낮에 방전함으로써 발전소의 이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약 4,400억원(800MWh)의 ESS 시장창출이 기대될 뿐만 아니라 추가 확보된 전력망 접속 여유용량으로 신규 태양광 200MW(약 3,000억원) 추가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ESS 세계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는 추세로 2020년에는 현재의 10배 수준인 150억불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8월 발족된 ‘ESS 융합얼라이언스’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뿐만 아니라 소비재 등 타 분야로도 ESS 융합모델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