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정부가 국가차원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설탕 과다섭취를 줄여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1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이와 같은 내용의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논의 확정했다.
전체 국민의 평균 총 당류 섭취량과 과일, 채소, 우유 등을 통한 섭취량을 제외한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적정 섭취기준 이내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3세부터 29세까지 어린이, 청소년, 청년층의 경우 총 당류 섭취량은 적정 기준 이내지만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기준을 초과한 상황이다.
정부는 2020년까지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인 1일 총 섭취 열량의 10% 이내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당류 저감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단맛을 선호하는 식습관 개선을 위해 ‘당류 적게 먹기’ 국민 실천운동을 실시하고 ‘당류 줄이기’ 문화를 확산하기로 했다.
특히 입맛이 형성되는 시기인 어린이와 청소년의 당류섭취 저감을 위해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학부모, 보육시설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강화한다. 개인별 특성을 반영해 국민 스스로 당류 섭취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칼로리코디’ 앱(app)도 보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소비자들이 당류를 줄인 건강한 식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식품에 들어있는 당류 함량 표시 정보를 강화한다. 현재 열량, 당, 나트륨 함량 등에 대한 영양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100개 식품에 대해서는 제품 섭취 시 적정 섭취기준 대비 당류 섭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치 대비 함량 비율(%) 표시를 의무화한다. 또한 국민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시리얼, 즉석 섭취식품(도시락) 등도 단계적으로 영양표시 확대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초과한 어린이와 청소년의 적정한 당류 섭취 관리가 시급하므로 탄산음료, 캔디류 등 당류 함량이 높은 어린이 기호식품을 단계적으로 고열량·저영양 식품으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 추진할 계획이다.
학교 내 자판기에서 커피 판매를 제한하고 슬러쉬, 빙수, 샌드위치 등을 어린이 기호식품에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또한 키즈카페, 과학관 등 어린이와 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에서 탄산음료 같은 당류 함량이 높은 식품에 대한 판매를 자율적으로 제한하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요리전문가와 공동으로 당류를 줄인 조리법을 개발해 가정식, 급식, 외식의 당류 저감 메뉴 확산을 유도하기로 했다.
정부 측은 “당류 저감정책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국민의 당류섭취량 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식품의 당류 함량 조사, 당류섭취량과 만성질환의 관련성 등 관련 연구도 강화할 방침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