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2016 한국관광의 해’ 개막행사를 20일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하고 올해 중국인 관광객 800만 명 유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관계 부처와의 협업을 통한 제도 개선과 홍보 마케팅 강화, 맞춤형 관광 콘텐츠 개발 및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방한 매력도를 향상하고, 관광객들의 불편을 해소하는 등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친화적인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한다.
먼저 올해 ‘한국관광의 해’를 맞이해 1월 1일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비자 수수료를 1년간 면제하고, 복수 사증 대상 연령을 60세에서 55세로 확대해 시행한다. 또한 올해 하반기부터 케이팝(Kpop), 패션, 미용, 문화체험, 레저 등 한류콘텐츠와 관광이 결합된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신청 요건을 대폭 간소화한 (가칭) 한류비자를 신설해 시행한다.
올 3~4월 중 한중 간 항공 신규 4개 노선(주 12회)을 취항해 중국관광객의 수송 능력을 높이고 전국 1만여 개 면세점에서 기존의 ‘사후 환급’에서 ‘총 100만 원 한도 내에서 즉시 환급’으로 면세제도를 개선해 시행한다.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 증가에 따라 전용부두를 확충하며 제주, 부산 등에 크루즈 종합안내센터 구축하고 기항지 테마 관광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15일부터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의 주요 5개 도시 공항과 시내 중심가에서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관광 광고를 시작했다. 20일 개막식에서는 아리랑을 대중문화와 결합해 만든 ‘국악과 팝핀댄스의 협연’과 한국의 전통 춤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창조한 국립무용단의 ‘향연(饗宴)’으로 무대를 장식한다.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와 신용카드 사용내역, 교통카드 실적, 중국 국제 항공예약 정보, 중국 관광객의 방문 지역과 소비 유형 등 다양한 거대자료(빅데이터)를 분석해 타깃별, 그룹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중국 관광객을 연령별, 계층별, 소득별 등으로 세분화하고 그룹별 맞춤형 관광 콘텐츠를 개발 상품화해 중국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한국의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통해 중국관광객을 한국에 적극적으로 유치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우리나라 각 지역의 전통문화 등 특색 있는 대표 관광콘텐츠를 개발하고 상품화하기 위해 올해 100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하고 백제와 신라 유적지 문화체험, 고택, 음식 등 전통문화를 활용한 관광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또한 대중교통을 활용한 지역관광 통합 관광상품을 개발해 중국관광객의 지방 확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문체부 김종덕 장관은 “올해 ‘한국관광의 해’ 개막식을 계기로 중국인 관광객들이 더욱 편안하게 대한민국을 관광하고 다시 찾아올 수 있도록 각 지역의 매력적인 관광콘텐츠를 집중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