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질병관리본부가 차관급 기관으로 격상되고 그 안에 감염병 현장을 총괄 지휘하는 긴급상황센터가 신설된다. 또한 국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위기소통전담부서가 각각 새로 들어선다. 정부는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9월 1일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에 따른 2단계 조직개편으로 내년 1월 1일부로 질병관리본부를 차관급으로 격상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과 함께 시행된다.
이번 2단계 조직개편을 보면, 우선 감염병 발생 시 방역현장을 종합적으로 총괄 지휘 통제하는 ‘긴급상황센터(Emergency Operations Center)’를 신설한다. 국내외 감염병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감염병 정보에 대한 실시간수집과 분석, 대규모 실전 훈련, 긴급대응팀 파견, 백신이나 격리병상의 자원비축 등 감염병 위기 대비와 대응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특히 메르스 사태시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았던 국제적 공조 감시와 정보 분석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긴급상황센터 내 신종 감염병 동향감시와 감염병 분야 국제협력을 전담하는 ‘위기분석국제협력과’를 신설한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본부장 직속으로 대국민 위기소통을 전담하는 ‘위기소통담당관’이 설치된다. 위기 시 국민과 소통하는 전담부서를 신설해 국민에게 올바른 정보를 신속하고 일관성 있게 제공함으로써 감염병 위기를 조기 극복하기 위한 조치다. 통상 위기대응은 ‘역학적’ 방역과 ‘심리적’ 방역으로 나뉘는데 긴급상황센터가 역학적 방역을 책임진다면 심리적 방역은 위기소통 조직에서 맡게 된다.
이와 함께 위기 시 감염병 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감염병 별로 분산돼 있던 검사표준화와 기관평가 기능을 일원화 해 질병관리본부에 ‘감염병진단관리과’를 신설한다. 이는 메르스 사태시 감염병 별로 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지방자치단체(보건환경연구원)-민간병원 간 연계가 체계적이지 못해 감염병 검사가 늦어지고 신속한 대응이 곤란했던 문제의식을 반영한 조치다.
이외에도 병원내감염과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인력을 보강하고 감염병 발생 위험국 검역을 강화하기 위해 검역관 16명도 추가 증원한다.
정종섭 행자부 장관은 “이와 같은 조직 개편으로 질본은 차관급 격상과 함께,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강력한 현장대응 컨트롤타워 기능과 심리적 방역(위기소통) 역할을 갖게 될 것이다”며 “신종 감염병 유입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공조 감시, 분석 능력, 역학조사, 검역 기능이 한층 강화돼 국가 방역의 중추기관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