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심나래 기자]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호흡기질환을 역학조사 중인 질병관리본부와 민간역학조사자문단은 그간 진행된 분석을 바탕으로 질병특성과 전파경로 추정원인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호흡기질환은 10월 19일 최초환자 발생 이후 10월 26일 정점을 보였다. 건물폐쇄 이후 환자 발생이 급격히 감소해 11월 2일까지 총 55명이 발생했고 이후 환자 발생은 없었다. 환자들은 모두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실험실 근무자였고 동 건물의 전체 실험실 근무자 254명 중 21.7%인 55명이 환자로 확인됐다. 남성이 69.5%로 평균 연령은 27.2세였다. 환자들은 모두 가벼운 폐렴증상을 보였고 11월 6일까지 모두 증상이 호전돼 퇴원했다.
질병관리본부와 자문단은 이번 호흡기질환이 사료를 많이 취급하는 실험환경에서 유기분진(Organic dust)과 관련된 병원체의 증식이 이루어지고 가동이 중단됐던 환기시스템을 통해 타 실험실 근무자들에게 확산돼 집단 발병한 것으로 추정했다.
추정원인은 환자검체 현미경 소견에서 방선균(S.rectivirgula)으로 추정되는 미생물이 관찰됐다. 실험실 환경검체에서도 동일한 균이 확인된 점으로 미루어 원인 중 하나로 그간 국내에서 보고가 없었던 동 방선균이 의심되고 있다.
본부와 자문단은 본 질환의 임상적 소견과 병원체 검사 결과에 따라 방선균을 의심 병원체로 추정했다. 그러나 기존 사례 보고와 다르고 미생물학적인 동정 결과가 없어 현재로서는 확진이 아닌 추정 원인병원체 중 하나로 규정했다. 통상적인 노출과 달리 실험실이라는 폐쇄적 공간에서 다양한 유기분진 내 미생물에 의한 복합 발생 가능성도 고려해 동물실험을 통해 명확한 병리기전 규명이 진행 중임을 밝혔다.
이와 함께 건국대학교 요청사항을 검토해 내년 3월 새학기 시작 이전까지 건물 내 오염원 제거작업과 시설 개선을 완료한 후 재사용토록 할 방침이다. 또한 건물 재사용 후 학생과 근무자들의 안전을 재확인하기 위해 최소 6개월간 이상증상 여부도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