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앞으로 10년이 경과된 연면적 3천㎡ 이상 공공건축물은 에너지 소비량이 공개된다. 국토교통부는 에너지 소비가 집중되는 연면적 3천㎡ 이상, 사용승인 후 10년이 경과된 문화,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수련시설, 업무시설 6개 유형의 에너지 소비량을 공개한다.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국공립대학 등 공공건축물 2,409동이 대상이다.
우선 에너지 소비량 공개는 매분기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공공건축물의 과거 3년간 사용 에너지를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로 환산해 공개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현황 파악을 용이하게 했다. 또한 연간 에너지소비량이 상위 50% 이내인 건축물을 선별해 에너지성능이 미흡한 노후 건축물은 성능개선을 요구해 녹색건축물로 전환을 유도할 계획이다. 성능개선을 요구받은 건축물은 현황조사, 사업계획 검토, 시공관리 등의 기술 지원을 통해 에너지성능을 30% 이상 개선하는 녹색건축물로 전환해야 한다.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의 주요 통계를 보면, 공공건축물의 연간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 소비량은 2013년 705.9kWh/㎡·년, 2014년 672.2kWh/㎡·년으로 지난해 평균 소비량은 2013년 대비 4.77%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을 보면, 24시간 운영을 하는 공항 등 운수시설 (1,446.5kWh/㎡·년)과 대학병원 등 의료시설(789.2kWh/㎡·년)이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련시설(265.9kWh/㎡·년)이 에너지를 가장 적게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별로는 1분기(1월~3월) 소비량(193.7kWh/㎡·년)이 가장 높고 2분기(4월~6월) 소비량(141.6kWh/㎡·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에너지 소비량 분포는 200kWh/㎡·년~300kWh/㎡·년의 구간이 전체의 25.4%(611동)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간별로는 200kWh/㎡·년 미만의 구간에 해당하는 건축물은 전체의 22.0%(529동)로 나타났다.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정보의 주요특징을 보면, 우선 1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공건축물임에도 에너지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에너지 효율화와 절약 정책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또한 지금까지는 공공기관별 건축물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만이 공개돼 왔으나 이번에 처음 동별 에너지 소비량이 공개돼 건축물 특성별 에너지 소비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에너지 공개는 건물 부문의 국가 온실가스를 감축함으로써 국정과제인 기후변화 대응을 적극 추진하고 녹색건축물 조성 활성화와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서다”며 “매 분기별 에너지 소비량 정보가 지속적으로 축적돼 공공건축물이 녹색건축물 조성을 선도함으로써 민간으로 확산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