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어릴 적 불의의 사고로 인한 장애를 극복하고 자립에 성공했다. 그리고 장애인들을 위한 봉사와 나눔 활동을 삶의 절대적 가치로 삼아온 이가 (사)한국장애인문화협회 문화복지사업단 박권재 이사장이다.
경남 남해 출신의 박 이사장은 4세 때 집 앞 다리 위에서 떨어져 목과 다리를 다쳤고, 지체장애3급이 됐다. 그러나 그는 비장애인들과 다를 바 없이 대학교육까지 마치고, 자립자활을 넘어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에 매진하며 큰 울림을 주고 있다. 여기엔 평생을 사회사업에 헌신한 부모님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이런 박 이사장은 1991년 한국신체장애인복지회 마포지회장을 맡아 1억 상당의 자비를 들여 장애인자립장에 모자제조공장을 설립했다. ‘장애인 자립자활을 위해 고기를 잡아주는 것이 아니라,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소신에 의해서였다.
또한 그는 1992년부터 한국장애인고용봉사회중앙회 부회장으로서 샤넬과 자매결연을 체결하고 장애인 20명에게 50만원씩 연2회 생활자금 지원 등을 이끌었으며, 1997년부터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마포지회장을 역임할 당시 사비로 컴퓨터 12대를 구입해 매월 20명의 장애인들이 지회사무실에서 컴퓨터교육을 이수하도록 뒷받침했다.
1998년엔 서울시기능장애인협회 마포지부장으로서 ‘장애인 직업 및 취업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서울시에 제공함으로써 장애인고용분야 데이터베이스화의 전기를 마련한 점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박 이사장은 2003년 한국장애인문화협회 마포지부장으로 취임하면서 장애인들이 다양한 문화·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모색과 인프라확충에 박차를 가해왔다.
2006년 (사)서울특별시장애인문화협회장에 취임 후 17개 지부마다 도서·비디오테이프·DVD 등을 무료대여하고 이동차량을 통해 가정까지 직접 찾아가 전달·회수하는 ‘장애인문화센터’ 설치 및 활성화를 선도하며, 적극적인 ‘장애인 문화바우처 확대운동’ 전개로 장애인들이 매월 2~3회씩 영화·연극·뮤지컬 등을 관람하고 각종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축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는 장애인생활체육 진흥에도 정성을 쏟으며 한국장애인다트연맹과 한국디스크골프클럽을 창립해 국내외 유관단체와의 활발한 교류를 추진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마라톤대회도 매년 개최중이다.
박 이사장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잘못된 인식 등을 바로 잡고 장애인들의 실질적인 자립자활지원과 문화·복지증진을 위한 일에 앞으로도 사활을 걸 것”이라며 “장애인들의 대변자, 봉사자로서 일익을 담당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사)한국장애인문화협회 문화복지사업단 박권재 이사장은 장애인들의 자립자활과 문화복지증진을 위한 봉사활동 및 사업전개에 헌신하고 장애인 권익대변과 건강사회 구현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15 대한민국 사회공헌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