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보건복지부의 신약연구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개발된 국내 제약사들의 신약(신약후보물질)이 해외에서도 기술력과 시장가치를 인정받아 대규모 기술이전 실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복지부는 신약개발 전(全)단계에 걸쳐 부처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우수한 프로젝트를 발굴 지원하기 위해 복지부, 미래부, 산업부와 공동으로 투자한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2012년 7월부터 3년여 간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임상 2상 연구를 수행한 한미약품(주)의 ‘차세대 당뇨병 치료제 HM11260C 글로벌 임상 및 제품화 연구’ 과제가 사노피社로 기술이전 됐다.
본 기술이전에 따라 한미약품은 사노피로부터 초기 계약금 약 5000억 원과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milestone·임상개발단계별 성공 시 받게되는 정액 기술료)으로 약 4조 5000억 원을 받게 돼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로 이어지게 됐다.
2013년부터 올 11월 기준 복지부는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해 신약연구개발사업을 적극 지원해 왔고 이를 통해 개발된 신약 및 신약후보물질로써의 해외 기술수출 사례는 사업단 성과를 포함해 총 22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기술료 수입은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포함해 최대 6조 5천억원 규모(계약당시 환율 적용)에 이르는 등 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기술이전 성과와 신약개발 성공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제약산업은 기술우위에 따른 독점력이 강하고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사업이지만 신약개발에 평균 15년의 긴 개발기간이 소요되고 실패율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복지부 지원사업의 기술이전 성과는 매우 우수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신약개발 R&D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기존 신약개발 사업의 영세성, 연구단계별 연계부족과 기술개발 병목 발생의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 범부처신약 개발사업과 같이 관계부처 간 장벽을 해소하고 정보교류와 성과 연계를 확대해 신약개발 R&D 투자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