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환경부가 지난해 9월부터 전국으로 확대한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이 1년 만에 수거실적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의 총 수거실적은 9월 말 기준으로 55만 1,000대(2만 3,849톤)이다. 이는 전년도 9월까지의 수거실적 24만 2,000대(1만 1,083톤) 대비 127%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동안 폐가전제품을 배출한 주민들이 혜택을 받은 배출수수료는 약 33억원이다. 회수된 폐가전제품 2만 3,849톤을 재활용해 얻은 판매수익, 소각과 매립 대체, 천연자원 대체 등에 따른 경제적·환경적 편익은 약 493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대상품목은 올해 3월부터 냉장고, 세탁기 등 4개 가전과 1m 이상인 제품에서 전자레인지 등 중·소형제품 15종까지 확대됐다.
누리집 주소(www.15990903.or.kr)가 직통 전화번호인 숫자로, 카카오톡 아이디(폐가전무상방문수거)도 알기 쉽게 각각 변경됐고 TV, 라디오 등을 활용한 홍보도 강화됐다.
아울러 물류비용이 높아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에서 소외됐던 도서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해당 지자체와 협의해 올 4월부터 도서지역의 폐가전제품 무상수거를 단계적으로 실시했다.
무상수거 대상도서는 사람이 사는 섬 중에서 본도와 연륙교 등이 연결돼 있지 않고 폐가전제품 배출량이 많은 5개 시군의 34개 섬을 우선 선정했다.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전남 신안군(흑산 등 10개 섬), 인천 옹진군(백령 등 7개 섬)의 폐가전 248톤(4,987대)을 수거했고 11월 중 나머지 3개 시군의 폐가전을 수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