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피부건조증은 가을철에 진료인원이 증가하기 시작해 겨울이 지난 후 차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피부건조증은 1년 중 10월부터 급격히 상승해 12월 3만4,506명으로 9월 1만3,529명 대비 2.5배 이상 증가했다. 전월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도 10월로 52.6%나 상승했다.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층은 70대 이상 구간으로 2014년 기준 약 4만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 진료인원의 21.5%를 차지했다. 이어 50대 14.5%, 60대 12.8% 순으로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성별로는 40대까지는 여성이 많지만 50대 이후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남성 진료인원이 많았다.
피부건조증은 피부가 건조해져 피부수분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질환이다. 원인은 건조한 날씨, 냉·난방기, 자외선 등 외부적인 요인 그리고 유전, 아토피 피부염, 피부 노화 등의 내부적인 요인이 있다.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고 가려움증, 갈라짐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악화될 경우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피부건조증을 예방 치료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기 전 보습크림을 사용해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고 진단을 통해 연고를 처방받아야 한다. 외부적인 요인의 경우 평상 시 충분한 보습크림 사용으로 예방이 가능하나 유전, 아토피 피부염 등의 내부적인 요인은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연고를 처방받아야 한다.
심평원 문기찬 전문심사위원은 “피부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젖은 수건을 사용해 적정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습기를 사용할 경우 레지오넬라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병원균이나 가습기에 사용되는 살균제의 유해성에 대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피부에 자극을 주는 옷, 과도한 목욕(때밀기) 등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