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사마귀 진료인원은 5월부터 급증해 8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사마귀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09년 약 23만 명에서 2013년 36만 명으로 증가했고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였다.
성별로는 인구 10만명당 남성이 768명, 여성이 683명으로 남성이 약간 많았다. 연령별로는 10대가 인구 10만명당 1,963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9세 이하가 1,429명, 20대 956명 순으로 나타나 아동·청소년 환자가 많았다. 월별로는 4월부터 진료환자수가 증가하기 시작해 8월에 가장 많았다. 진료환자수가 9월에 급격히 감소한 이후 가을과 겨울에는 진료환자수의 두드러진 변화는 없었다.
<월별 진료환자수 추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사마귀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면역력이 낮은 어린이나 10대에서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추측한다. 또한 봄부터 활동량이 증가하고 신체 접촉도 증가해 사마귀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사마귀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피부나 점막에 양성 증식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발생 부위나 형태에 따라서 보통 사마귀, 편평 사마귀, 손발바닥 사마귀, 성기 사마귀로 나눈다. 사마귀는 누를 때 보다 잡을 때 통증이 심하고 표면을 깎아 내면 점상 출혈이 나타난다. 또한 신발에 닿거나 체중이 실리지 않은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고 여러 병변이 모여 있는 경향이 있다.
사마귀는 주로 접촉에 의해 전염이 된다. 발가락이나 손가락에 발생하면 접촉이 되는 바로 옆의 손, 발가락에 전염이 돼 사마귀가 발생할 수 있다. 치료방법은 사마귀 위치나 크기, 숫자, 환자 나이, 성별 면역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치료 결과는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마귀 병변을 파괴하는가에 달려 있다. 현재 대부분의 치료 방법의 완치율은 약 50% 정도고 재발률은 평균 25-50% 정도다.
치료방법은 크게 물리적인 치료법과 면역 치료가 있는데 물리적인 치료에는 액화 질소나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냉동 치료, 수술적 절제, 전기 소작술, 레이저 치료, 포도필린, 살리릴산 등이 있다. 면역 치료에는 DPCP, DNCB, 인터페론, 이미퀴모드 등이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사마귀는 접촉에 의해 전염되므로 사마귀를 직접 손으로 만지거나 잡아 뜯거나하는 행위는 피해야 한다. 특히 성기 사마귀는 성 접촉에 의해 전염이 되고 악성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도 같이 진찰을 받아야 하고 콘돔을 사용해 전염을 예방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