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인천 굴포천, 성남 시흥천 등 전국의 오염하천 9곳이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은 오염된 하천에 하수도, 생태하천복원 등 다양한 개선수단을 3년 이내의 단기간에 집중 지원해 체계적인 수질개선과 생태계 복원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올해 선정된 중소규모 오염하천 9곳은 인천 굴포천, 성남 시흥천, 밀양 초동천, 부산 온천천, 천안 천안천, 순천 해룡천, 당진 남원천과 석우천, 고창 외정천 등이다. 이들 오염하천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국비 2,072억 원의 사업비가 지원될 예정이다.
개선사업이 완료되면 대부분의 오염하천은 수질 Ⅱ등급 이하인 ‘좋은 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3mg/L이하’ 수준으로 개선될 예정이다. 특히 굴포천이나 해룡천처럼 오염이 심했던 도시지역 하천은 이번 사업이 완료될 경우 지역주민에게 친환경적인 생활공간을 제공하고 고질적인 악취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환경부는 2012년부터 매년 수질오염 정도, 인구밀집지역, 지역주민 개선 요구 등을 고려해 10곳 내외의 중소규모 하천을 선정해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까지 전국 35개 오염하천을 선정하여 개선사업을 추진 중이며 대부분 사업 시행 전보다 수질이 개선되고 있다. 부산 대리천의 경우 사업 시행 전에 84mg/L BOD 수치가 20.5mg/L로 개선됐고 전북 익산천도 61.9mg/L에서 13.1mg/L로 개선되는 추세다.
환경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매년 10개 내외의 오염이 심한 중소규모 하천에 대해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을 계속 추진해 2020년까지 100개 하천의 수질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