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윤미 기자] 보건복지부는 담뱃값 인상에 따라 올 1분기 기준 담배 반출량이 전년대비 44.2% 감소하고 금연 프로그램 참여자는 전년대비 2.9배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1분기 담배반출량은 5억 1천9백만갑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4.2% 감소했고 최근 5년 평균 담배반출량 대비에서도 48.7% 감소했다. 3월 담배반출량은 소폭 증가했으나 40%이상 감소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담뱃값 인상에 따른 효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금연프로그램에 참여자 수도 전년 대비 약 3배 증가해 담뱃값 인상에 따른 금연 결심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는 전년대비 2.7배 증가한 28만명으로 가장 많이 이용했고 지난 2월 25일부터 신규 시행된 병·의원 금연치료 서비스에도 4만9천명이 참여해 전문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금연정책의 효과는 담배의 중독성 등을 고려할 때 보다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금연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경고그림 부착 의무화 , 실내 금연 구역 확대 등 강력한 비가격 정책의 조속한 이행과 함께 맞춤형 금연서비스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을 기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