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임소담 기자] 전방에 인접해 있어 일반 민간인들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했던 민간인통제선(민통선) 마을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발벗고 나선다.
행정자치부는 민통선 마을이 있는 지자체들과 함께 그 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돼 왔던 민통선 마을들에 대한 체계적인 자원조사와 역량진단을 통한 마을발전 방안을 수립키로 했다. 2일 양구군과 8일 철원군 현지에서 해당 마을 주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각각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
민통선 마을은 북한의 선전촌에 대응해 1959년도부터 1973년까지 건설됐고 한때 100여개까지 조성됐다가 민통선이 북방으로 이동하고 남북 간 체제경쟁이 약화됨에 따라 점차 해제돼 현재는 경기도 4개소, 강원도 16개소 등 총 20개가 남아 있다.
이번 조사에는 20개 마을 중 우선 4개 마을이 대상 마을로 선정됐다. 올 4월부터 11월까지 총 8개월이 소요될 예정이며 강원발전연구원에서 조사를 수행하기로 했다. 민통선 마을에 대한 마을자원, 마을리더와 주민역량 조사결과를 토대로 관련 전문가와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을 활용해 마을 주민들이 참여하는 ‘DMZ 마을포럼’을 개최하기로 했다.
행자부는 상기 마을조사와 역량진단과정을 통해 신청된 민통선 마을개발사업에 대해서는 신규사업 선정 시 우선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DMZ 또는 민통선 내 사라진 마을에 대한 인문학적인 복원 작업도 병행한다. 올해는 철원군 일원(구 철원읍 시가지, 김화읍 읍내리)에 대해 우선 진행하기로 했다.
김성렬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그간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인 민통선 마을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주민들이 참여하고 전문가들과 함께 수립하는 마을발전 방안을 통해 주민주도형 마을발전 모델을 정립해 나아가고자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