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정부는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고용복지+센터’를 올해 중 전국 30곳에 새로 설치한다. 고용노동부, 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등 관계부처는 자치단체 수요를 파악한 뒤 행정수요, 민원 접근성, 자치단체 의지 등을 감안해 현장실사,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1차로 21곳의 설치 대상지역을 발표했다.
고용복지+센터는 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와 고용․복지 연계를 한 단계 발전시킨 모델이다. 대상지역은 서울 송파구·강서구, 수원시, 구리시, 김포시 등으로 기존 고용센터에서 고용복지+센터로 전환되는 전환형이 15개소, 새롭게 설치되는 신설형이 6개소다. 나머지 9곳은 향후 기초자치단체 추가 수요를 파악해 5월말까지 전환형으로 추가 선정할 예정이다.
전환형(15개소) |
신설형(6개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광주광역시 북구, 수원시, 구리시, 김포시,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보령시, 정읍시, 익산시, 김제시, 경산시, 경주시, 양산시 |
서울특별시 강서구, 대구광역시 달성군, 인천광역시 서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파주시, 음성군 |
고용복지+센터는 남양주시를 시작으로 지난해 10곳이 개소돼 고용과 복지를 연계하는 수요자 중심형 융합서비스를 원스톱(one-stop)으로 제공하고 있다. 고용복지+센터를 운영 중인 지역의 취업실적은 전국의 일반 고용센터 평균 7.6%에 비해 32.1% 증가해 크게 상승했다.
정부 관계자는 “고용복지+센터 운영이 안정화 되면서 서비스 연계도 활성화되고 국민 편의 향상과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 올해는 보다 많은 국민이 양질의 복합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고용복지+센터 추가 설치지역을 30곳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