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정미 기자] 국민권익위원회는 과거 군복무로 인해 부상을 입고 전역했지만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해 보훈 등록이 거부된 A씨(77세)에 대해 공무상 부상(공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1961년 A씨는 육군 모부대 취사병으로 복무 중 관리장교가 버린 담배꽁초가 휘발유 통으로 불이 붙어 이를 진화하다 오른쪽 팔에 중화상을 입고 10개월 간 군 병원에서 세 차례의 피부 이식 치료를 받아야 했다. 이로 인해 의병 전역 후에는 상지 장애(팔 부위 지체장애) 4급 판정까지 받았다.
A씨는 1978년 육군본부에 본인의 부상이 공상임을 인정해 달라는 민원을 냈으나 육군본부 측은 A씨의 병상일지가 확인되지 않고 전역기록에 ‘사적인 부상(사상)’이라고만 기록돼 있어 ‘공상’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답변을 보내 왔다.
2013년 권익위를 통해 당시 군 병상일지를 찾아냈고 보훈 등록을 위해 국가보훈처를 찾았다. 하지만 보훈처는 “병상일지에 가솔린에 화상을 입었다는 기록만 있고 사고경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공상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며 보훈 등록을 거부했다.
이후 A씨는 권익위에 다시 민원을 접수했고 권익위는 사고 당시 함께 복무한 선임하사관 B씨를 찾아냈다. B씨는 “당시 A씨의 부상은 관리장교의 담뱃불 부주의로 인해 취사장 휘발유 통에 불이 붙어 발생한 것이다. 식당 취사병인 A씨가 불을 진화하기 위해 휘발유 통을 밖으로 가지고 나가다가 중화상을 입은 것이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국가보훈처 보훈심사위원 측은 “권익위의 조사내용과 육군 중앙 전공상 재심사위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A씨의 부상이 군 의무복무자로 영내에서 타인의 과실로 인한 사고로 부상을 입은 것이므로 보훈보상대상자 요건에 해당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