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동종·이종·복합소재 간의 접합에 필요한 용접기술은 자동차, 선박, 기계 등 제조 산업의 지속성장을 뒷받침하는 기초공정기술이다. 최근엔 다양한 소재의 개발 및 활용이 증대함에 따라 용접기술도 더욱 첨단화 되고 있으며, 마찰용접도 그 중의 하나다.
이에 ‘차량 동력 전달축 전용 자동 마찰 압접장치’, ‘마찰용접 잉여부분 제거장치’ 등의 특허를 보유한 자체 기술력과 제작·설비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마찰용접기 개발·납품과 마찰용접 임가공에 전문성을 발휘하며, 국내의 관련 산업발전을 선도하는 ㈜승창에프더블유(대표 서만석, www.scfw.co.kr)가 주목된다.
현재 승창에프더블유는 마찰용접기 생산, 자체설비운영을 통한 마찰용접 관련 부품가공과 ASSY'S 제작·납품 등에 이르기까지 ‘국내 마찰용접분야 토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승창에프더블유는 마찰용접기 국산화에 성공, 대부분 값비싼 수입 장비에 의존했던 국내 관련시장의 새 바람을 일으켰다.
승창에프더블유가 개발한 마찰용접기(압접기)는 미국·일본·유럽 등 해외 유수의 제품과 견줄 만큼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 절감, A/S 대응력, 생산성 향상, 작업 단가인하 및 채산성 상승효과 등의 경쟁력을 두루 갖췄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빠르게 이뤄지며, 제품에 따라 언로딩·품질보증·기타옵션장치 등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도 승창에프더블유 마찰압접기의 특징이다.
서만석 대표는 이 장비의 세부 사항에 대해 “컴퓨터로 마찰을 제어하며 순간 압접으로 용접재의 표면까지 접합시켜 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일반스틸(금속)·황동·알루미늄 등 각종 소재의 용접이 가능하다”며 “빠른 공정으로 모재(母材)에 가해지는 열의 영향을 최소화해 마찰용접부의 내구성이 뛰어나고, 마찰용접 후엔 자체의 UT검사기가 내부결함을 검출하는 자동화시스템도 개발·탑재함으로써 엄정한 품질보증이 구현됨”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마찰압접기가 자동차, 건설 중장비, 조선, 항공, 농기계 등의 부품제조에 활용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승창에프더블유는 마찰용접분야 국내 선두업체로서 영국·미국·일본 등 선진국과 당당히 기술을 겨뤄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를 위해 승창에프더블유는 자체기술연구소를 열고 ‘글로벌스탠더드(세계표준)’ 장비와 제품의 개발·가공·생산·공급에 더욱 박차를 가하며, 철저한 애프터서비스 제공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끊임없는 기술·품질혁신으로 국내를 넘어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한 승창에프더블유의 힘찬 도약이 예상된다.
한편 승창FW(주) 서만석 대표는 기술혁신을 통해 고품질·고부가가치 마찰용접기 개발·국산화에 성공하고 철저한 품질보증과 A/S제공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마찰용접 임가공 및 장비제조업 발전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15 대한민국 미래창조경영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