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협심증 진료환자의 90%는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협심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9년 47만 8천명에서 2013년 55만 7천명으로 매년 약 3.91%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09년 985명에서 2013년 1,116명으로 국민 100명 중 1명이 연간 1회 이상 ‘협심증’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연령대별 협심증 진료환자는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의 90%를 차지했고 이 중 60대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해 전체 협심증 진료환자의 30%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3,876명, 70대 5,716명으로 70대가 가장 많았다. 이는 70대 인구 100명 중 5.7명이 연간 1회 이상 협심증 진료를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3년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협심증 진료인원(명)>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으로 좁아져 생기는 질환이다. 일종의 노화현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빈도도 증가하게 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가슴부위에 나타나는 통증인 흉통이 있다. 운동, 활동, 스트레스, 추위(coldness) 등에 더 악화되고 휴식하면 나아지는 양상이다. 이외에도 호흡곤란, 심계항진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전동운 교수는 “협심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동맥경화를 악화시킬 수 있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운동부족, 대사성 증후군, 스트레스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평소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과 적절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