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2014년 한국 영화산업 매출은 사상 최초 2조 원대를 돌파하며 2013년 대비 7.6% 증가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14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전체 영화산업 매출은 2조 276억 원으로 사상 최초 2조 원대를 넘어섰고 최고 매출 기록을 갱신했다. 이는 극장 매출, 디지털 온라인 시장, 해외수출 등 전 분야에서 매출이 신장된 덕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영화산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영화 총 관객 수는 2013년 대비 15.4% 줄어들며 1억 770만 명을 기록했다. 투자 수익률은 0.3%로 3년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지만 2013년 14.1%대비 큰 폭 하락했다.
2014년 극장 입장권 매출액은 극장의 가격차별화 정책 등이 평균 관람요금 상승을 가져오면서 역대 최대 액수인 1조 6,641억 원을 기록해 2013년 대비 7.3% 증가했다. 관객 수도 2년 연속 총 관객 수 2억 명을 돌파하며 2013년 대비 약 0.8% 증가한 2억 1,506만 명에 달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그 결과 2014년도 인구 1인당 평균 관람횟수는 2013년보다 증가하며 4.19회에 달했다. 한국영화 총 관객 수는 2013년 대비 15.4% 감소한 1억 770만 명(관객 점유율 50.1%)이었다.
지난해 외국영화 총 관객 수는 2013년 대비 24.8% 증가한 1억 736만 명(관객 점유율 49.9%)을 기록했다. 과거 총 관객 수의 추이를 보면, 일반적으로 한국영화 관객 수와 총 관객 수의 증감이 연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14년 한국영화 관객 수가 다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영화 관객 수가 급증함에 따라 전체 관객 수 규모가 조금 확대됐다.
2014년 디지털 온라인 시장 매출은 2,971억 원으로 2013년 대비 11.0% 증가했다. IPTV 및 디지털케이블 TV(이하 ‘TV VOD’) 매출액은 2,254억 원으로 2013년 대비 29.7%로 증가했다.
반면, 인터넷 VOD 매출액은 499억 원으로 2013년 대비 31.5% 감소해 전체 디지털 온라인 시장의 증가세는 둔화 경향을 보였다. 패키지 매출액은 <겨울왕국>의 매출호조에 힘입어 218억 원으로 2013년 대비 3.8% 증가했다.
해외매출은 6,308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6.1% 증가했다. 완성작 수출액은 2,638만 달러로 2013년에 비해 감소했다. 그러나 서비스 수출액은 3,67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약 63.9%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매출이 신장됐다.
특히 서비스 수출액 부문에서 국내 로케이션 유치·집행금액은 2011년 집계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는데 2014년 2,266만 달러로 2013년에 비해 약 7배 증가했다. 로케이션 촬영 작품 수 역시 2013년 27편보다 10편 늘어난 37편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