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우리 국민의 내집 마련 의식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3월 발표 예정인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주요지표를 발표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민들의 주거환경과 주거이동, 가구특성과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2006년부터 격년 단위로 실시해 오고 있다. 금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전국의 2만 가구를 대상으로 1대 1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됐다.
1인당 주거면적은 2012년 31.7㎡에서 2014년 1.4㎡ 증가한 33.1㎡로 나타나 주거의 양적수준이 향상됐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2012년 전체가구의 7.2%인 128만 가구에서 2014년 5.4%인 100만 가구로 감소해 주거의 질적 수준이 개선됐다.
자가보유율은 2012년 58.4%에서 2014년 58.0%로, 자가점유율은 53.8%에서 53.6%로 모두 소폭 하락했다. 소득계층별로는 자가보유율이 고소득층에서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과 중소득층은 감소했다. 전체 차가가구 중 월세가구는 50.5%에서 55.0%로 증가한 반면 전세가구는 49.5%에서 45.0%로 감소했다. 평균거주기간은 자가가구는 11.2년, 차가가구는 3.5년으로 2012년에 비해 거주기간이 줄었다. 최근 2년 내 이사가구 비율은 36.6%로 2012년 32.2%에 비해 증가했다.
내 집 마련 의식은 국민의 79.1%는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2010년 83.7%에 비해 4.6%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특히 가구주의 연령이 34세 이하인 경우 타 연령층에 비해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지난해 70.9%로 가장 낮았고 2010년에 비해 감소폭도 가장 컸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86점(4점 만점)으로 2012년에 비해 소폭 높아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주거비 부담이 높은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올해 주거급여 확대시행, 공공임대주택 12만호 입주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며 “주택구입 의사와 능력이 없는 계층은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을 통해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