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허은숙 기자]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환경 오염물질 측정장비의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기 위한 사업단이 출범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국내 환경측정기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16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에서 ‘그린패트롤 측정기술개발사업단’ 출범식을 개최한다.
환경측정장비는 국가 환경측정망의 필수장비로 환경오염물질의 확산을 조기에 대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지만 첨단 핵심부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아 국내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사업단은 그동안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환경계측장비 핵심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수출형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발족했다.
그린패트롤 사업단은 수질과 대기의 오염 측정과 유해화학물질 측정 분야의 센서·계측기기·측정장비의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2020년까지 총 66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은 그린패트롤 사업단을 통해 국내 환경계측장비 분야의 기술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시켜 현재 20% 수준에 머물고 있는 국산화율을 9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우선 온라인 총유기탄소(TOC) 측정분석장치, 복합유해물질 굴뚝자동측정기, 초미세먼지(PM2.5) 측정분석장치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개발된 환경측정장비 핵심 기술은 굴뚝자동감시체계, 수질원격감시체계, 국가 수질자동측정망 등에 적극 활용될 예정으로 나아가 수출 사업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그린패트롤 사업단을 운영하게 될 건국대학교(사업단장 김조천 교수)에서는 수질, 대기측정 분야에서 내년 1월 초까지 공모 절차를 걸쳐 당월 중순 신규과제를 수행할 연구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김용주 환경산업기술원 원장은 “그린패트롤 사업단이 첨단 환경 파수꾼으로서 역할을 다해 국내 환경측정기기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