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간접흡연 피해는 베란다, 화장실 등 집 내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가 공동주택의 간접흡연 피해와 관련해 2011년 1월부터 올 10월까지 최근 3년 10개월간 국민신문고(www.epeople.go.kr)에 접수된 민원은 총 1,025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흡연 피해 민원이 제기된 공동주택을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96.7%)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연립주택·다세대 주택 등(3.3%)으로 나타났다. 간접흡연 피해를 야기하는 흡연 장소는 베란다·화장실 등 집 내부(53.7%)가 가장 많았고 계단·복도 등 건물 공용부분(31.9%), 건물 밖 단지 내 놀이터 등 저층 근처(12.6%)였다.
<흡연장소별>
민원 내용은 공동주택의 금연구역을 법제화 해달라는 요청이 절반 이상(58.3%)이었고 흡연의 단속·계도 요구와 고충 호소(37.1%)도 많았다. 민원 제기자가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 7살 이하의 영유아 양육자가 제기한 민원(13.1%)이 가장 많았고 임산부나 그 가족(5.2%), 기관지 환자나 그 가족(2.7%)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58.4%)이 낸 민원이 많고 연령별로는 남·여 모두 30대(49.1%) 민원이 가장 많았다. 30대 민원이 많은 이유는 30대 가정에 7세 이하 영유아, 임산부 등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분기별로는 매년 3분기(7월~9월)에 민원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특성을 보였다. 여름철에는 문을 열고 생활하는 가구가 많아 외부의 담배연기가 자주 들어오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권익위 관계자는 “공동주택의 흡연은 최근 들어 주민 간 심각한 갈등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복도, 계단 등 공동 생활공간을 금연구역으로 의무화하는 방안뿐 아니라 베란다, 화장실 등 집 내부의 흡연으로 인한 간접흡연 피해방지 방안 검토도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