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30일 영화 제작을 위한 투자 과정에서의 표준계약 기준을 설정하고 공정한 거래 질서를 형성하기 위해 ‘영화 제작 및 투자, 수익분배에 관한 표준계약서(이하 투자표준계약서)를 마련해 발표했다.
한국영화의 제작비 조달이 투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투자사의 우월적 지위에 따른 불합리한 계약이나 불평등한 정보 제공 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지속돼 왔다. 이에 문체부와 영화진흥위원회는 더욱 공정한 투자와 수익 배분 관행의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영화 제작 관련 협회와 단체, 배급사, 투자사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정거래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투자표준계약서를 제정했다.
투자표준계약서는 용어의 정의, 투자사의 권리와 의무, 제작사의 권리와 의무, 총제작비의 집행 및 관리, 수익 정산 및 분배의 원칙과 방법, 저작재산권 등으로 구성돼 있다. 기존 투자계약 시 투자사 권리 중심으로 규정돼 오던 부분들을 제작사의 권리도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개선했다. 또한 투자 계약 시 사용되던 용어를 명확히 하고 기준을 설정하는 등 계약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였다.
특히 투자사들이 영구적으로 가져가던 독점적 수익 창출 권리 행사 기간을 반드시 특정하도록 하고 5년마다 수익분배 대상자들로부터 평가를 받도록 했다. 제작사에게 관련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도록 해 투자사들의 투명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유도하고 제작사들이 의견이 지속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관행적으로 제시돼 오던 제작사에 대한 순이익 배분 기준을 40%로 명시했다. 다만 개별 합의에 따라 배분 비율은 조정될 수 있도록 해 영화 제작 방식과 제작사, 투자사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 업계 현실을 고려했다.
더불어, 29일 3차 노사정 이행협약에서 도입된 ‘영화근로자 임금 별도 관리제도’를 반영해 제작비에서 스태프 인건비가 별도 계좌로 관리되도록 했고 순제작비에 4대 보험료를 포함시키는 등 스태프 처우 개선을 위한 규정도 도입됐다.
문체부 관계자는 “앞으로 정부가 출자해 조성된 투자조합(펀드)이 영화에 투자할 때 표준계약서 사용을 의무화해 실효성을 확보하는 등 업계가 표준계약서 사용을 정착시켜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