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우리나라 30~40대 남자의 흡연률이 50%로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1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2013)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
만19세 이상 성인 남자의 현재흡연율은 2007년 이후 정체상태를 보이다가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30~40대 절반이 흡연자였다. 남자의 흡연율은 42.1%로 OECD 국가 중 2번째로 높고 30대와 40대는 54.5%, 48.0%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여자의 흡연율은 6.2%로 2008년 이후 6~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은 경향이 지속되고 있고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 차이도 1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남자 흡연자 2명 중 1명(56.5%)은 최근 1년 동안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고 5명 중 1명(19.3%)은 1개월 내 금연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비흡연자 2명 중 1명(47.3%)은 직장 실내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에 노출됐고 최근 3년간 증가 경향을 보였다. 가정 실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감소추세나 비흡연자 10명 중 1명(10.9%)은 가정 실내에서 담배 연기에 노출되고 있다.
2012년부터 공중이용시설 전체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됐지만 학교, 도서관, 공연장, 음식점 등 공공장소 실내에서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비율은 55.5%(남자 61.1%, 여자 52.2%)였다.
현재흡연자는 평생비흡연자에 비해 건강행태가 불량했고 만성질환의 유병률도 높았다. 현재흡연자는 평생비흡연자에 비해 고위험음주, 신체활동부족, 에너지 및 지방 과잉섭취의 비율이 높고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폐쇄성폐질환 유병률도 높았다.
성인의 고위험음주율, 스트레스인지율, 우울증상경험률은 감소했고 신체활동실천율과 주관적 건강인지율은 증가했다. 고위험음주율은 1.4%p 감소했고 월간폭음률은 소폭 감소했다. 평소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거나 우울증상을 경험한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에너지 섭취는 증가했으나 나트륨 섭취는 감소했고 하루 1회 이상 외식이 증가했다. 에너지 섭취비율은 2012년에 비해 4.6%p 증가했고 에너지 및 지방 과잉섭취자 분율도 2.0%p 증가했다.
나트륨은 목표섭취량(2,000mg) 대비 섭취분율이 2012년에 비해 약 10% (227.3%→200.6%) 감소했으나 여전히 2배가 넘는 수준이었다. 아침식사결식률은 최근 3년간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고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2012년에 비해 6.5%p 증가했다.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인 비만과 고혈압은 소폭 감소했고 당뇨병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증가했다. 비만은 31%~32% 사이에서 변동하고 있고 고혈압은 최근 3년간 감소 경향을 보이며 2012년에 비해 1.7%p 감소했다.
당뇨병은 2012년에 비해 2.0%p 증가했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증가추세가 지속돼 2005년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
고혈압의 인지율과 치료율은 1998년에 비해 3배 증가했고 조절률은 10배 증가했으나 2007년 이후 정체상태다. 당뇨병의 인지율과 치료율은 1998년에 비해 각각 2배, 3배 증가했으나 조절률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