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허은숙 기자] 하늘에도 지름길이 있다? 비행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소위 ‘하늘의 지름길’인 경제적 비행로를 운항해 올 상반기 항공기 연료비가 50억 원 가량 절감될 전망이다. 매년 5% 이상의 항공교통량 증가추세를 고려할 경우 올해 약 100억 원 이상의 연료비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경제적 비행로는 심야시간이나 비가 올 때 등 군 훈련공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해당 공역을 가로질러 비행거리를 단축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항공교통센터)와 국방부(공군)간 합의해 만든 비행로로 현재 13개가 운영되고 있다. 항공교통센터와 공군 공역통제기관은 상시 연락체계(핫라인) 운영을 통해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한 필요조치를 취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 운항한 민간 항공기 27만7512대 중 경제적 비행로를 이용한 운항편수는 5만4747대로 전체의 20%였다. 올 상반기 항공교통량은 총 30만1383대였고 이 중 민간 항공기는 27만7512대, 군용기 등 기타 항공기는 2만3871대로 집계됐다.
경제적 비행로 운영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 비행로 대비 약 48만 마일의 거리를 단축했고 이를 시간으로 환산할 경우 1131시간을 절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기 연료 측면에서는 항공유 약 1100만 파운드가 절약되는 효과로 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약 50억 8천만 원을 절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비행거리가 단축됨에 따라 항공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도 1만5천 톤 가량 감소되는 효과가 있어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교통량이 매년 5% 이상 증가하고 있어 경제적 비행로 이용에 따른 이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력적인 국가공역 운영과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하늘길 제공을 위해 국방부와 지속 협력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