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하라 기자] 에볼라출혈열은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에 의한 감염증으로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며 치사율은 25~90%에 이른다. 에볼라 치사율은 높지만 전파력이 약해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처럼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이다.
에볼라출혈열의 잠복기는 2~21일이다. 감염되면 잠복기 후에 갑자기 발병하고 열, 오한, 두통, 식욕부진, 근육통, 목아픔 등의 증상이 있고 오심, 구토, 인후통, 복통, 설사를 일으키는 질병이다.
감염경로는 호흡기 전파가 아닌 감염된 사람의 체액, 분비물, 혈액 등에 의한 밀접한 직접 접촉 또는 감염된 침팬지, 고릴라 등 동물과의 접촉으로 감염되고 무증상자로부터는 감염되지 않는다. 또한 에볼라 환자 치료 중 개인보호장비(장갑, 마스크, 가운 등) 미착용 등으로 인해 병원 내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
1976년 아프리카 콩고공화국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가봉, 코트디부아르, 수단, 우간다 등에서 발생했다. 올해는 서아프리카 3개국에서 감염자,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4월부터 바이러스성출혈열(에볼라)대책반을 구성해 국내 및 국외발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에볼라출혈열 의사환자에 대한 추적조사, 역학조사에 대한 지침을 전국 국립검역소, 시도 및 시군구 감염병 담당 부서에 배포해 국내유입상황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
정부는 에볼라출혈열 발생국의 방문 자제, 해외여행자들을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고 우리나라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했다. 전국 국립검역소, 해외공관 등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의 에볼라 발생현황 과 예방수칙을 홍보하고 있다.
정부는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에 대해 특별여행경보를 발령해 우리 국민들이 동 국가들을 방문하지 말 것과 동 국가에 체류 중일 경우 즉시 대피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
또한 이미 해당지역에 방문한 경우에도 에볼라출혈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와의 접촉을 하지 않아야 하므로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안전한 음료수 마시기, 충분히 익힌 음식 섭취 등 해외여행안전수칙을 준수하여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에볼라출혈열 발생국가 방문 후 발열, 출혈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입국 시에는 공․항만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귀가 후에는 가까운 보건소 또는 질병관리본부 생물테러대응 핫라인(043-719-7777)으로 신고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