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인구 100명 중 3명은 외국인주민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행정부가 발표한 ‘2014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장기체류 외국인, 귀화자, 외국인주민 자녀(이하 외국인주민)는 모두 156만 9,74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인구 5114만 1463명과 비교해 3.1% 수준으로 외국인주민 규모가 광주광역시(147만 2910명)나 대전광역시(153만 3811명) 인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수는 2011년, 2012년에는 전년보다 11%씩 증가했으나 지난해 방문취업제 기간만료 등에 따라 증가폭이 2.6%로 감소했고 올해 다시 중국동포에 대한 재외동포자격 대상 확대, 국적요건을 갖춘 외국국적동포의 영주자격 신청 증가 등으로 8.6% 확대됐다.
외국인주민을 유형별로 보면, 한국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이 121만 9188명으로 전체 외국인주민의 77.7%를 차지했다. 이어 한국국적을 갖고 있는 사람은 14만 6078명(9.3%), 외국인주민 자녀는 20만 4204명(13%)으로 나타났다.
한국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 중 외국인근로자는 53만 8,587명으로 전체 외국인주민의 34.3%를 차지했다. 결혼이민자는 14만 9764명(9.5%), 유학생은 8만 570명(5.1%), 외국국적 동포는 23만 3265명(14.9%), 기업 투자자 등은 21만 7002명(13.8%)으로 조사됐다. 한국국적을 갖고 있는 사람은 혼인귀화자가 9만 439명(5.8%), 기타사유 귀화자가 5만 5,639명(3.5%)으로 집계됐다.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인을 포함한 중국 국적자가 84만 3655명(53.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베트남 18만 5470명(11.8%), 파키스탄·스리랑카 등 남부아시아 7만 5645명(4.8%), 미국 7만 1053명(4.5%), 필리핀 6만 4785명(4.1%) 순이었다.
<외국인주민 국적별 현황>
성별로는 남성 81만 131명(51.6%), 여성 75만 9339명(48.4%)으로 나타나 비교적 균등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다만, 외국인근로자는 남성(73.2%)이 대부분인데 비해 한국국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여성 81.6%)과 결혼이민자(여성 85.3%)는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거주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 49만 2790명(31.4%), 서울특별시 41만 5059명(26.4%), 경상남도 9만 7148명(6.2%) 순으로 많았다. 특히 기업체와 대학 등이 많이 소재하고 있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 63.1%가 집중 분포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도 안산시(7만 5137명)에 외국인주민이 가장 많고 서울특별시 영등포구(5만 8927명), 경기도 수원시(4만 7237명), 서울특별시 구로구(4만 5232명) 순이었다. 특히 경기도 안산시 원곡본동(2만 9726명, 주민등록인구 대비 89.4%)에 외국인주민이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외국인주민자녀 중 미취학아동(만 6세 이하)과 초등학생(만 7세 이상 12세 이하)이 대부분(83.9%)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이민자는 20대(35.2%), 30대(29.4%)가 전체의 76.3%을 차지하고 혼인귀화자는 40대(28.9%), 50대(15.4%)가 차지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주민의 지역사회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역리더 양성사업, 외국인주민과 지역주민의 화합을 위한 외국인주민 밀집지역 환경개선사업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