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몸에 흰 반점이 생기는 ‘백반증’은 자외선 노출이 많은 7월에서 9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백반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4만 4,905명에서 2013년 5만 2,785명으로 연평균 3.2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꾸준히 많았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2.55%, 여성 2.53%로 비슷했다. 2013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보면, 50대가 9,256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7,363명, 10대 6,619명 순으로 나타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인구 10만명당 연령대별 백반증 진료인원(2013)>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60대(153명), 9세 이하(144명), 70세 이상(126명)에서 가장 많았고 진료인원이 적은 연령대는 20대(79명)와 30대(77명)였다.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보면, 연평균 증가율은 70세 이상 연령대에서 8.68%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50대 6.02%, 60대 4.51%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연령대는 9세 이하(연평균 증가율 5.15%)와 10대(연평균 증가율 3.16%)였다. 백반증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환자는 자외선에 노출이 많은 7월~9월에 가장 많았고 2월~4월에 가장 적었다.
백반증은 멜라닌세포 소실에 의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백색 반점이 피부에 후천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상태에 따라 약물치료, 광선치료, 피부이식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김수민 교수는 “환부와 노출부위에 자외선 차단제를 적절히 사용하면 증상 악화를 막고 빛에 의한 일광화상, 피부손상과 피부색의 대비를 줄일 수 있다. 백반증 환자는 자주 상처를 입는 부위에 백반증이 새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부의 과도한 자극이나 외상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