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 대표단을 만난 자리에서 재차 사과하고 "정부의 부족했던 부분에 대해서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꼭 한달을 맞은 이날 오후 3시50분께 청와대에서 세월호 사고 가족대책위 대표단 17명과 면담한 자리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마음 고생이 이루 말할 수 없이 크실텐데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사과했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에 대해 사과한 것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 모두발언과 지난 6일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봉축메시지에 이어 세번째이지만 사망자 및 실종자 가족 앞에서 '대면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대통령은 이어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의 안전 시스템을 근본부터 다시 바로잡고 '국가 대개조'라는 수준으로 생각하면서 사회에 기초부터 다시 세우는 것이 안타까운 희생을 헛되게 하지 않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박 대통령은 유가족과의 대화에 나선 배경에 대해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했고 그래서 안전 시스템부터 공직사회의 개혁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 대책을 세우고 있지만, 현장에서 처음부터 지금까지 지켜보신 유가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렇게 모시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느끼셨던 문제점들과 또 바로잡아야 되겠다는 것들에 의견을 주시면 꼭 바로잡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이어“가족을 잃으신 슬픔 자체도 (힘들고) 어려우실 텐데 생계 문제로 고통을 받으시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된다”며 “그런 어려움이 있으면 말해 주시면 정부가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최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다. 마음에 담아두셨던 생각을 허심탄회하게 말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가족대책위의 한 인사는 “아이를 잃고 난 이후에도 그 원활한 수습이나 이런게 안 되는 부분에는 절망을 넘어 분노까지 이르게 됐다”며 “근데 저는 제 아이를 포함한 많은 희생자들이 우리나라 역사, 또 세계 역사에 남을 수 있도록 가장 가치있고 고귀하게 만들어주시는 것이 대통령을 포함한 정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점에 대해 정부의 구체적인 어떤 방안을 들어보고자 온 것”이라며 “정부에서 구상하는 어떤 방안이 있는 것인지 한번 여쭤보고 싶다”고 질문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사고가) 있기 전과 또 그 후의 대한민국은 완전히 다른 나라로 태어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