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오는 10월 개관을 앞두고 있는 국립한글박물관은 고유 상징표시(Museum Identification, MI)를 확정하고, 각종 시설물과 안내·홍보자료에 활용한다고 22일 밝혔다.
국립한글박물관의 상징표시는 한글의 과학성과 예술성, 경제성, 편의성을 형상화 했다. 모음 글자는 점과 선, 자음 글자는 선과 원이 결합한 것에 착안해 선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점과 원을 배치했다. 이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해 한 음절을 이룬다는 의미로 한글의 과학성과 기하학적 예술성을 형상화한 것이다.
이번 상징표시 개발에 재능기부로 참여한 한글 폰트 개발회사 ㈜윤디자인연구소 편석훈 대표는 “상징표시는 한글의 ‘ㅎ’을 연상하게 해 한글박물관을 떠올리게 하는 효과가 있고, 그 아래 쓰인 국립한글박물관의 서체는 훈민정음 해례본체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것이다”고 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 내에 건축연면적 1만 1,322㎡(3,425평/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작년 8월 준공했다. 현재는 10월 9일 한글날 일반 공개를 목표로 한글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전시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1층에는 ‘한글누리’라는 한글 관련 자료검색 공간이 조성된다. 2층 상설전시실에서는 한글의 역사와 한글문화 관련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개관 기념 특별전시가 열리는 3층에는 어린이 및 학생 대상 교육체험실,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 대상 한글배움터 등의 공간을 마련해 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을 체험하는 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