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7일 북한제로 추정되는 무인기가 최근 백령도와 경기도 파주 지역에 잇따라 발견된 데 대해 "우선 GOP(최전방 일반전초)부터 종심 지역에 이르기까지 현존 전력으로 감시, 탐지, 식별, 타격할 수 있는 대비태세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처음 열린 이번 주요지휘관회의는 김 장관 주간으로 이날 오전 합참에서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화상회의 시스템으로 진행된 이번 회의는 최윤희 합참의장을 비롯해 국방부와 합참의 주요 간부들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이번에 소형 무인기가 정보력에 대한 상대적인 열세를 만회하기 위한 정찰용으로 개발했다면 앞으로는 은밀 침투 및 테러 목적의 공격으로 발전이 예상된다"며 "북한으로 추정되는 소형 무인기는 새로운 위협으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단기 및 중기적으로 방공망을 공격용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김 장관은 또 "이번에 드러났듯이 주민 홍보 및 신고망을 재정비하는 등 민관군 통합방위차원에서 대비태세도 발전시켜야 하겠다"고 요구하면서 "우리 군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고 충분성의 원칙 하에서 즉각적으로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태세를 유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국방부는 전날인 6일 강원도 삼척에서 발견된 무인기와 관련, “연료부족으로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회의 직후 정례브리핑을 통해 "소형 무인기와 같은 작은 비행체를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조기에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전에는 우리가 기존에 보유한 다른 장비들을 발굴해 일단 최대한으로 탐지 및 감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추락한 무인기와 관련해 "어제 삼척에 떨어진 것은 안쪽에 '35'라는 숫자가 쓰여 있었고, 파주에서 떨어진 것에는 '24', 백령도에 떨어진 것은 '6'이라는 숫자가 쓰여 있었다"며 손으로 쓴 숫자가 제품생산 순서를 나타내는 일련번호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아울러 김 대변인은 "새로운 위협이 나타났기 때문에 그에 대처할 수 있는 군사작전, 또 여러가지 방공작전 등의 차원에서 대책을 빨리 마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는 "(만약 이번 무인항공기가) 북한의 소행으로 확정되면 우리 영공에 불법으로 비행체를 침투시킨 그 자체가 정전협정 위반이며, 다른 나라 영공에 비행체를 불법으로 보낸 것은 국제협약에도 위배된다"면서 "두 가지 차원에서 문제제기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