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정부는 첫 국가추념일로 지정돼 치러지는 제66주기 4.3위령제를 3일 오전 10시 제주4·3평화공원에서 ‘어둠에서 빛으로’란 슬로건을 내걸고 유족 및 도내·외 인사 1만 여명을 초청해 ‘제66주년 4·3희생자추념식’을 거행했다.
특히 제주도민들이 66년을 기다린 끝에 4·3이 법정기념일로 지정·공포됨에 따라 이번 추념식은 처음으로 안전행정부가 주최하고 제주4·3평화재단이 주관하는 국가의례로 치러졌다.
이날 추념식에 외부 인사로는 박근혜 대통령을 대신해 정홍원 국무총리가 참석했으며,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등 여.야의 지도부 등이 대거 참여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3일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6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4·3 희생자 유족과 제주도민 여러분이 보여준 화합과 상생의 정신은 우리 모두가 실천해야 할 시대정신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제주의 화합과 상생 정신을 미래지향의 창조적 에너지로 더욱 승화시켜 온 나라로 확산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오늘의 추념식이 대한민국의 희망찬 미래를 향해 한 걸음 더 도약하는 뜻 깊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러분은 과거의 아픈 역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갈등과 대립을 관용과 화합으로 승화시켜 미래를 향한 더 큰 발전의 디딤돌을 놓았다"며 "특히 4·3 사건의 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제주 4·3 희생자 유족회'와 '제주 경우회'가 화해의 자리를 함께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정부는 지난 10여 년간 특별법 제정과 공식 사과, 평화공원과 기념관 건립, 그리고 위령 사업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이러한 노력에 이어 박근혜 대통령께서 약속하신 대로 지난 24일 국가기념일 지정을 공표함으로써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을 바라는 여러분의 뜻을 받들 수 있게 됐다"고 소개했다.
정 총리는 아울러 "4·3 당시 안타깝게 희생된 영령들의 영전에 머리숙여 애도의 뜻을 표하면서 명예회복을 소망해온 희생가 가족 여러분의 아픔이 덜어지게 되기를 바란다"고 위로했다.
식후 분향 행사는 각계인사와 유가족, 일반 도민들의 분향 및 참배가 진행되는데 이 시간에는 ‘넋이여, 화해의 땅에 함께 하소서’라는 주제로 추모공연이 펼쳐졌다.
추모공연에는 제주 시사랑회의 시낭송, 한국국악협회 제주도지회의 상여소리, 한국무용협회 서귀포지부의 진혼무, 가수 최상돈씨의 ‘애기동백꽃의 노래’ 공연 등으로 구성됐다.
이와함께 재경4·3유족회와 부산제주도민회에서도 오는 3일부터 4일까지 서울과 부산지역에 분향소를 설치, 4·3희생자를 추모하고 위령할 수 있도록 참배객들을 맞이한다.
아울러 도내 4·3관련단체 및 문화예술단체가 중심이 되어 4·3과 관련한 30여개의 각종 문화 행사를 도내 곳곳에서 다채롭게 진행 할 예정이다.
한편 4·3의 법정기념일 지정은 2000년 ‘제주4·3사건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제정·공포, 2003년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확정,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공식사과’에 이어 4·3해결의 또 한고비를 넘는 역사의 한 페이지로 기록하게 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