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심나래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8일부터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상급종합병원 공개에 이어 300병상 초과 종합병원까지 비급여 가격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심사평가원이 현재 공개하고 있는 비급여 항목은 상급병실료, 초음파검사료, MRI 진단료, 치과임플란트료 등 10대항목 32개 세부항목이다. 이번 가격공개로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비급여 가격검색이 가능한 기관수는 기존에 공개 중인 상급종합병원 43개 기관과 300병상 초과 종합병원 110개 기관을 합쳐 153개 기관이다.
조사된 300병상 초과 종합병원의 가격 분석 결과, 의료기관의 규모나 위치한 지역보다는 설립유형별로 가격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합병원을 설립유형에 따라 대학병원, 대형공립병원(수도권소재, 보훈·산재병원 제외), 보훈·산재·지방의료원, 민간병원으로 분류했을 때, 비급여 가격은 대학과 대형공립병원, 민간병원, 보훈·산재·지방의료원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항목별 가격을 보면, 상급병실료 1인실의 경우 최저 4만원(C병원, 4~10만원)에서 최고 35만원(D병원, 29~35만원)으로 조사됐다. 설립유형별로는 대학병원이 최저 6만원(K병원)에서 최고 35만원(D병원, 29~35만원), 대형공립병원이 최저 6만 3천원에서 (K병원, 6만3천원~13만3천원) 최고 32만 9천원(W병원)이었다. 보훈·산재·지방의료원은 최저 4만원(C병원, 4~10만원)에서 최고 10만원(J병원외 4개기관), 민간병원은 최저 5만원(D병원)에서 최고 23만원(M병원)까지 조사됐다.
치과임플란트료는 최저 90만원에서(A병원, 90~220만원)에서 최고 400만원(W병원, 250~400만원)으로 나타났다. 치과임플란트는 부위나 재료 종류를 불문한 1치당 비용으로 설립유형별로 대학병원이 최저 105만원(S병원, 105~250만원)에서 최고 350만원(D병원, 230~350만원), 대형공립병원이 최저 120만원(S병원, 120~180만원)에서 최고 400만원(W병원, 250~400만원) 등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공개된 종합병원의 비급여 가격정보는 지난해 12월 조사된 가격으로 그 이후에 변경된 가격은 반영되지 않아 일부 항목의 경우 종합병원의 고지가격과 차이가 날 수 있다. 가격변경이 발생한 종합병원에서는 가격변경 절차에 따라 신청을 하면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반영할 예정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그 간 비급여 진료비용은 각 의료기관의 홈페이지에 고지돼 있었으나 일반 국민이 가격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알기 어려운 비용정보를 각각의 홈페이지에서 찾아 수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비급여 가격공개 정보는 올 4월부터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해 모바일 홈페이지(m.hira.or.kr)와 ‘건강정보’ 앱을 통해서도 제공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