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올 한해 외국으로 관광을 떠나는 인구가 1,600만명을 넘어서고 해외에서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여행객도 1,3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등 1989년 해외여행 자율화 이후 외국과의 왕래가 급증하고 있다.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은 해외 여행객이 늘어나는 겨울방학과 설 연휴를 맞아 1월 ‘이달의 기록’ 주제를 ‘국제공항의 성장, 하늘 길이 활짝’으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23일부터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우리나라 항공(1952), 새로 단장된 김포공항(1960), 대한항공 국제선 취항(1968) 등 동영상 15건과 서울-홍콩간 탑승 수속(1957), 여의도공항(1959), 점보제트기 보잉747 취항식(1973) 사진 15건 등 총 30건으로 1950~90년대 국제공항의 확장과 개항, 국제노선 취항 등 국제공항의 발전과정을 담고 있다.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초반은 국제항공이 걸음마를 떼기 시작한 시기로 국제공항이 새로 지정되고 국제노선이 개설되기 시작했다. 1954년 이후 국제공항으로 이용되던 여의도공항 대신 1958년 국제공항으로 지정된 김포공항은 1960년 신청사를 개관하면서 국제공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갔다.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에는 경제성장으로 국제교류가 활발해 지면서 국제선 취항이 늘어나고 항공기가 대형화 됐다. 1964년에는 일본 노선이, 1969년에는 동남아 노선, 1972년에는 태평양횡단 미주 노선, 1976년에는 취리히 노선 취항, 1976년 김해국제공항이 개항하는 등 국제수준의 공항시설도 확충해 나갔다.
항공기도 대형화 돼 1969년 보잉707형·보잉720형을, 1973년 점보제트기 보잉747기 등이 도입돼 아시아에서 세 번째 점보기 보유국이 됐다.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는 서울올림픽, 해외여행 자율화 등으로 공항 이용객이 늘면서 현대식 국제공항이 속속 개항했다.
1980년과 1988년 각각 김포공항 국제선 제1청사와 제2청사, 1983년 제주국제공항 신청사, 1997년 청주국제공항이 차례로 준공되는 등 여객처리 능력이 늘어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급증하는 국제항공 수요와 김포공항의 포화에 대처하기 위해 1990년 수도권 신공항건설 계획이 발표됐고 1992년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인 인천국제공항 건설이 시작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