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꽃은 2cm 정도로 샛노란색을 띄고 매혹적인 진한 향기를 내뿜어 조경수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납매의 개화 시기는 매년 불규칙했지만 평균 1월 하순 전후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만개시기가 1월 20일로 평년보다 약 10일 정도 앞당겨졌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윤준혁 박사는 “일반적으로 나무의 개화현상은 전년도의 월평균기온과 당해 연도 개화 이전까지의 온도와 강수량에 영향을 받는다”며 납매의 개화시기가 앞당겨지는 이유를 밝혔다.
이 나무는 현재 경남 진주에서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정원에 식재돼 방문객으로부터 많은 관심과 인기를 누리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윤준혁 박사는 “일반적으로 나무의 개화현상은 전년도의 월평균기온과 당해 연도 개화 이전까지의 온도와 강수량에 영향을 받는다”며 납매의 개화시기가 앞당겨지는 이유를 밝혔다.
이 나무는 현재 경남 진주에서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정원에 식재돼 방문객으로부터 많은 관심과 인기를 누리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