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강영란 기자] 원인 모를 장트러블 '과민성 장증후군'의 2명 중 1명은 40~60대 중장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과민성 장증후군(자극성 장증후군)’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149만명에서 2012년 162만명으로 5년간 약 13만명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나타났다.
과민성 장증후군 진료인원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2012년 기준으로 남성이 약 47%, 여성은 약 53%로 성별에 의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2.1%, 여성이 1.3%로 남성이 0.8%p 더 높았다.
진료인원의 10세 구간 연령별 점유율은 50대 20.5%, 40대 16.0%, 60대 14.3%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60대의 점유율이 50.8%로, 자극성 장증후군 진료인원의 2명 중 1명은 40~60대의 중·장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민성 증후군 성별 진료인원 추이>
과민성 장증후군은 복통, 복부 팽만감과 같은 불쾌한 소화기 증상과 설사나 변비 등 배변장애 증상을 반복적으로 느끼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CT나 내시경 등 검사상 원인 질환을 찾을 수 없어 근본적인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다.
또한 과음, 자극적인 음식,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등 여러 원인에 의해 장의 운동기능과 내장의 감각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아랫배의 통증과 함께 배변 습관이 바뀌는 것으로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반복되거나 배변 후 증상 완화, 점액질 변, 잦은 트림, 방귀 등이 나타난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불편함을 완화시키기 위해 정신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증상 호전에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건보 관계자는 “과민성 장증후군은 오랜 기간 계속되거나 재발해도 건강에 커다란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환자의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함께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