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의사회 윤형선 회장】의료기관과 의료인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이 점점 냉랭해지고 있는 가운데 인천광역시의사회 윤형선 회장은 “사회와 소통하고 의료인 스스로 자존심을 지켜 나가자”고 의료인들의 성찰을 당부했다.
‘소통하는 의사회, 봉사하는 의사회, 행동하는 의사회 건설’에 주력하고 있는 윤 회장은 환자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인들의 권익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주한 행보를 단행하고 있다.
윤 회장은 소통의 부재에서 파생된 의료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시민과 함께하고, 사회와 소통하는 의사회’를 강조, 의료기관에 대한 환자 불신을 해소하고 실추된 의료인들의 권익을 향상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몇몇 의료인들의 그릇된 행동이 의료계 전체의 도덕성과 윤리의식 상실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낀 윤 회장은 ‘권위의식을 버린 진실 된 소통’만이 신뢰회복의 길이라고 내다봤다.
이를 테면 ‘환자에게 말 한마디 더하기 운동’을 전개했던 경험을 비추어 볼 때, 소통의 시작인 말 한마디가 환자들에게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를 심어주고 결국 의료인들에 대한 위상강화로 직결된다는 말이다.
윤 회장은 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아청법)을 예로들어 소통 부재에 따른 법과 제도의 문제점도 설명했다.
최근 아청법이 ‘의료인에 대한 위헌적 조항으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는 의료인들의 지적이 끊이질 않는 가운데 윤 회장도 그들과 한 목소리를 내며 "그동안 의사들이 제대로 발의하지 않아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법과 제도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는 의사들이 독립된 형태를 벗어나 사회에 참여하여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현실성 있는 법과 제도를 만드는데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덧붙여 “아청법의 기본취지와 마취환자 강자 성추행 의사 등에 대한 법의 심판은 공감하지만,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묶은 모호한 아청법은 진료행위 자체로도 성추행 의혹을 살 수 있는 현실 속에 복수심이나 합의금을 노린 고발과 같은 부작용을 도출시킬 수 있다”며 “의사에겐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10년간 의료기관 취업 및 개설 금지라는 처벌은 의료인의 진료행위를 위축시키고 억울한 피해자를 다수 양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소통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인천시의사회는 인천의료사회봉사회를 발족하여 소외계층을 위한 실질적 봉사에도 전념하고 있다. 인천시의사회 회원을 비롯한 치과의사회, 한의사회, 방사선회, 임상병리사회 등 다양한 의료 분과의 참여로 의료봉사의 질적 측면을 향상시켰으며, 단순히 의료봉사에만 국한두지 않고 소외계층을 대상으로한 도배·장판· 집수리·음식나눔 등 봉사의 영역을 확대했다.
소통과 봉사 그리고 즉각적인 행동을 통해 의사회 발전을 이끌고 있는 윤 회장은 “이제 어떤 전문직이건 블루오션은 없다”며 “의사들 스스로 자존심을 회복하고 주변사회와 소통하여 환자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자”고 전했다.
한편 인천광역시의사회 윤형선 회장은 의료인의 권익향상과 지역의료산업 발전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13 대한민국 사회공헌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정미라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