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혜자 기자] 자궁내막증 진료인원의 10명 중 7명은 30~40대 중년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자궁내막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5만3천명에서 2012년 8만명으로 5년간 약 2만7천명(50.2%)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5%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증 진료인원의 10세 구간 연령별 점유율은 2012년 기준으로 40대가 45.2%로 가장 높고 30대 28.8%, 50대 12.6%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의 점유율이 74.0%로 자궁내막증 진료인원의 10명 중 7명은 30~40대로 나타났다. 특히 40대 진료인원은 2008년 2만 2,316명에서 2012년 3만 6,271명으로 5년간 1만 3,955명(62.5%) 증가했다.
2012년 자궁내막증으로 수술 받은 환자는 1만 6,978명으로 전체 진료인원 8만 328명 중 21.1%를 차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4%로 매년 수술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증 수술인원 추이(2008~2012)>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난소, 자궁후벽, 자궁인대, 골반벽 등에 존재하게 돼 통증, 출혈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가장 흔한 증상은 생리통을 포함한 골반통이나 요통이다.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생리통은 생리가 나오기 전에 시작되고 생리 기간 동안 내내 지속되는 특징을 가진다. 초경 이후 한 번도 빠짐없이 생리통을 겪는 경우도 있고 대개 하복부 양쪽에 통증이 온다.
자궁내막증의 치료는 초기일 경우 호르몬 약제를 이용한 약물 치료를 통해 이루어지고 제거가 필요할 경우 복강경 수술이나 개복수술을 시행한다.
건보 관계자는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하지만 만성적으로 진행하고 재발을 잘하는 질환으로 초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리통이나 골반의 지속적인 통증을 갖는 여성은 증상을 방치하지 말고 조속히 병원에 방문해 진찰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