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강영란 기자] 국민의 81%가 소방·재난 등 국민 안전과 관련한 사회복지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행정부는 정부조직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정부조직 관리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정부조직관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에 의뢰해 6월 26일부터 7월 4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과 공무원 200명 등 총 14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먼저, 중앙부처 서비스 분야별 ‘공무원이 적정한가’ 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81%가 소방․재난 분야 공무원을 늘려야 한다고 답했고 치안(73%), 사회․복지(65%) 분야 공무원을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더불어 과학·기술(57%), 보건·식품안전·환경(50%), 고용·노동(41%) 공무원을 늘려야 한다는 응답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 교육․문화는 전체 응답인원의 32%, 경제·산업은 26%가 인원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일반 국민이 자주 접하는 대민서비스 행정기관과 관련해서는 상당수 국민이 소방서(75%), 파출소(62%), 국공립유치원(58%)’에 근무하는 공무원 수를 늘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학교(50%), 우체국(59%), 주민센터․구청(54%), 세무서(51%) 공무원은 현 수준이 적정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같은 교육기관임에도 국공립유치원은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지만 학교(교사)는 적정하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전성태 안행부 조직정책관은 “이번 조사결과 나타난 국민들의 인식 정도에 기반 해 중장기 인력계획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