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교육부는 지난해 6월부터 올 2월까지 9개월간 시범운영한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해당 고등학생 5명 중 1명이 학업을 지속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숙려제 대상학생 1만 2,776명 중 5,312명(41.6%)이 숙려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려제에 참여한 5,312명 중 숙려 기간 이후 1,138명(21.4%)이 학업을 지속했고 참여하지 않은 학생 7,464명 중에는 364명(4.9%)이 학업을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 숙려제는 학업중단의 징후가 발견되거나 학업중단 의사를 밝힌 학생 또는 학부모에게 Wee센터, 청소년상담지원센터 등의 외부전문 상담을 받고 2주 이상 숙려하는 기간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지난해 6월부터 시범운영하고 있다. 청소년기에 신중한 고민 없이 학업을 중단하는 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숙려 기간 동안 학생들은 개인·집단 상담, 심리검사 등 학업 복귀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학업중단 이후 겪게 될 상황에 대해 안내받게 된다.
교육부는 학생 한명 한명의 애로와 고충에 맞는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학교 내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고, 학교 밖의 다양한 사회적 인프라를 활용해 학업중단 숙려 프로그램의 발전적 운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여러 대안교육기관 등과 위탁교육, 여행 프로그램, 사회적 멘토링, 진로캠프 등을 제공하고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공교육 틀 안에서 학생들이 꿈과 끼를 마음껏 키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학교 밖으로 나가기로 결정한 학생에 대해서도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등과 협력해 직업훈련 프로그램, 사회적 돌봄시스템과 연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매년 4만여 명씩 발생하는 학업중단학생을 근본적으로 줄여나가기 위해 교육기본통계조사에서 학업중단 통계조사 항목을 개선해 중단사유를 유형별로 세분화함으로써 그에 따른 원인 분석과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안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립 대안학교 설립 확대, 위탁형 대안교육 확대, 학교 안 대안교실 프로그램 운영 등 대안적 교육체제를 확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