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우리나라 기업들이 물류효율성 향상으로 물류비용이 감소하고 제3자물류 활용비율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1년 기업물류비 실태조사’와 ‘2012년 제3자물류 활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1년도 제조업 및 도소매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은 2009년 대비 0.34%p 감소한 8.03%로 나타났고 물류업무를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제3자물류 할용비율은 59.6%로 나타났다.
물류비 증가 요인으로 ‘유가 및 인건비’ 상승을, 감소 요인으로는 ‘배송빈도 개선 및 인력감축’을 꼽았다. 전체물류비는 운송비(58.4%), 보관비(28.8%), 포장비(7.0%)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운송비가 2009년 41.9%에서 2011년 58.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유가상승(44.6%), 인건비상승(23.5%)이 주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류기업과의 계약기간은 1년 단위로 갱신한다’고 응답한 업체가 가장 많아(62.9%) 대체적으로 물류기업에 대해 안정적으로 물량을 보장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시계약 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업체당 이용하는 물류기업 수도 평균 3.16개에서 2.82개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 관계자는 "유가상승 등 어려운 여건 가운데에서 배송빈도 개선과 적재율 향상 등 기업들의 물류 효율성 개선 노력으로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며 "물류의 전체 또는 일부를 물류전문업체에 위탁하는 제3자물류 활용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