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앞으로 국민들은 배출스티커를 부착하지 않고 무료로 폐냉장고 등 대형 폐가전제품을 버릴 수 있게 된다. 환경부는 가전제품 제조사, 광역시·경기도와 협력해 TV, 냉장고 등 대형 폐가전제품을 국민들이 편리하게 무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회수시스템(이하 방문수거)을 구축하기로 했다.
폐가전제품은 무분별하게 버려지면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일부 회수되지 않은 폐가전제품은 부적정 처리돼 냉매가스가 공기 중으로 유출되는 등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지적돼 왔다. 반면 모아서 재활용하면 소중한 국가자원으로 재탄생될 수 있다. 그럼에도 그간 대형 폐가전제품은 수거체계가 미비해 이를 버리려면 배출스티커를 부착해 집 밖까지 내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우선, 서비스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은 제조사가 부담하고, 환경부와 해당지자체는 서비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제도적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올해는 특·광역시, 경기도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해 참여를 희망한 서울, 대구, 대전, 경기도, 부산, 광주 6개 시·도(인천, 울산 미참여)를 중심으로 확대해 나간다. 내년에는 2단계 사업으로 농어촌 및 도서(島嶼)지역 등 지역별 여건을 감안한 캠페인, 수거지원 등 맞춤형 수거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서비스가 정착되면 매년 45만대의 폐가전제품에 대한 배출수수료가 면제돼 국민들에게 연간 약 120억원의 수수료 면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회수된 폐가전제품을 재활용해 약 350억원의 국가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약 23만톤의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기대된다.
환경부 정연만 차관은 “가정에서 버려지는 폐가전제품을 최대한 수거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부와 지자체, 제조사 간 협력의 장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