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2011-2012년 프로축구, 야구, 배구 등의 승부조작사건에 이어 최근 프로농구에 까지 승부조작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13일 프로단체 사무총장급 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문화부 체육국장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현 상황을 프로스포츠 전체의 근간을 흔드는 위기상황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지난해 발표된 정부대책의 실효성과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추가적으로 프로스포츠계의 공동 대처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가칭 ‘프로단체 협의회’를 신설해 4대 프로단체가 공동으로 협업, 승부조작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프로단체 협의회에서는 그 간 종목별로 대처해 오던 승부조작 관련 조사, 신고접수, 선수교육 등을 통합적으로 관할해 신속성과 지속성을 갖추게 된다.
또한 프로스포츠계의 내․외부 감시, 감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시행중인 자진신고 감면제도 확대, 1억원의 신고포상금은 '2억원으로 상향', 각 프로연맹의 구단관리감독기능 강화를 위해 구단지원금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 등을 도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승부조작의 빌미가 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차단하기 위해 플레이오프 확정 후 치러지는 잔여경기에 대해서는 경기감독관 추가배치, 비디오분석 강화 등을 통해 감시강도를 높여 나가기로 했다. 야구의 경우 올 시즌부터 암행감찰관의 감찰범위를 아마추어대회까지 확대하고 인원도 늘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