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배보다 배꼽이 더 컸던 명절선물의 과대포장이 기업체와 국민들의 의식 전환 속에 개선 추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지난 설 명절을 겨냥해 실시한 대형유통업체의 선물포장 모니터링과 전국 지도·단속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먼저, 환경부는 지난 2월 (사)소비자시민모임과 함께 국내 주요 백화점과 대형유통업체에서 전시·판매한 과일선물세트를 대상으로 ‘농산물 그린포장 실천협약’ 이행여부를 조사했다. 이 실천협약은 농·축·수산물 선물세트의 포장횟수를 2차 이내로 줄이고 포장공간에서 내용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75% 이상으로 하며 띠지나 리본의 사용을 점진적으로 줄이자는 것이다.
모니터링 결과, 신세계와 롯데백화점이 협약이행에 가장 적극적으로 동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백화점은 과일세트 전체에 띠지를 두르지 않았다. 현대백화점은 40.4%만을 무띠지 상품으로 전시했으나, 선물포장가방 반환 시 800g 감귤 팩을 증정하는 행사를 통해 포장재 회수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했다.
대형마트의 경우, 전체 과일선물세트 가운데 홈플러스가 60.5%, 하나로마트 57.6%, 이마트 52.9%, 롯데마트는 50%를 무띠지 상품으로 준비했다. 고객이 띠지상품을 선호해 ‘양쪽을 함께 전시할 경우 무띠지 제품이 외면 받을 것’이라는 업계 일부의 우려와는 달리 전체 판매제품 중 무띠지 물량이 차지한 비율은 이마트 55.1%, 홈플러스 43.5%에 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소비자시민모임이 조사한 과일세트는 3.1%의 포장 내 빈 공간이 25%를 초과한 것으로 드러나 오는 7월 1일부터 개정포장규칙이 시행되면 과태료 부과대상이 될 것으로 확인됐다. 개정포장규칙에 따르면, 공기충전형 제과류 포장은 빈공간이 35% 이내여야 하며, 농축수산물 등 1차식품 종합제품도 예외 없이 포장 내 빈 공간을 25% 이하로 줄여야 한다.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반제품의 제조·수입 또는 판매자에게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2012년 전국에서 매일 2만톤 가량의 포장폐기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생활폐기물의 절반을 차지하는 포장폐기물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기업의 법적·사회적 포장감량 실천노력과 더불어 이에 호응하는 국민들의 친환경포장 제품 구매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